
리눅스와 파일 정리 * 모든 것은 파일이라는 철학을 따름 - 모든 인터렉션은 파일을 읽고, 쓰는 것처럼 이루어져 있음 - 마우스, 키보드와 같은 모든 디바이스 관련된 기술도 파일과 같이 다루어짐 - 모든 자원에 대한 추상화 인터페이스로 파일 인터페이스를 활용 가상 파일 시스템 * 파일 네임스페이스 - A 드라이브 (A:/), C 드라이브 (C:/windows) (X) - 전역 네임스페이스 사용 /media/floofy/dave.jpg 예: cat tty 슈퍼블록, inode와 파일 * 슈퍼블록 : 파일 시스템의 정보 * 파일 : inode 고유값과 자료구조에 의해 주요 정보 관리 - '파일이름:inode'로 파일이름은 inode 번호와 매칭 - 파일 시스템에서는 inode를 기반으로 파일 엑세스 - in..

프로세스 VS 바이너리 * 코드 이미지 또는 바이너리 : 실행파일 * 실행 중인 프로그램 : 프로세스 - 가상 메모리 및 물리 메모리 정보 - 시스템 리소스 관련 정보 - 스케쥴링 단위 리눅스는 다양한 프로세스 실행 환경 * 리눅스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프로세스가 실행됨 - 유닉스 철학 : 여러 프로그램이 서로 유기적으로 각자의 일을 수행하면서 전체 시스템이 동작하도록 하는 모델 foreground process / background process * foreground process : 쉘(shell)에서 해당 프로세스 실행을 명령한 후, 해당 프로세스 수행 종류까지 사용자가 다른 입력을 하지 못하는 프로세스 * background process : 사용자 입력과 상관이 실행되는 프로세스 - 쉘(she..

Standard Stream (표준 입출력) * command로 실행되는 세 가지 스트림을 가지고 있음 - 표준 입력 스트림 (Standard Input Stream) - stdin - 표준 출력 스트림 (Standard Output Stream) - stdout - 오류 출력 스트림 (Standard Error Stream) - stderr * 모든 스트림은 일반적인 plain text로 console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음 리다이렉션 (redirection) * 표준 스트림 흐름을 바꿔줄 수 있다 - >, files.txt - ls 로 출력되는 표준 출력 스트림의 방향을 fi..

파일 및 권한 관련 명령어 (1) * chmod (change mode) : 파일 권한 변경 * 기호 문자를 사용하는 방법 chmod g+rx test.c -> test.c 파일 그룹에게 읽기, 실행 권한을 준다 chmod u+rw test.c -> test.c 파일 사용자에게 읽기, 쓰기 권한을 준다 chmod ug+rw test.c -> test.c 파일 사용자와 그룹에게 읽기, 쓰기 권한을 준다 chmod u=rwx, g=rw, o=rx test.c -> test.c 파일 사용자에게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그룹에게는 읽기, 쓰기 권한을, 기타에게는 읽기, 실행 권한을 준다. * 숫자를 이용하는 방법 - r 읽기 = 4 / w 쓰기 = 2 / x 실행 = 1 - 사용자, 그룹, 기타 순서대로 부..

쉘 종류 쉘 (shell) : 사용자와 컴퓨터 하드웨어 또는 운영체제간 인터페이스 -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해서, 커널에 명령을 요청해주는 역할 - 관련된 시스템콜을 사용해서 프로그래밍이 작성되어 있다 Bourne-Again Shell (bash) : GNU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됨, 리눅스 거의 디폴트 Bourne Shell (sh) C Shell (csh) Korn Shell (ksh) : 유닉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됨 리눅스 기본 명령어 정리 리눅스 명령어는 결국 쉘이 제공하는 명령어 리눅스 기본 쉘이 bash 이므로, bash에서 제공하는 기본 명령어를 배우는 것 UNIX는 다중 사용자를 지원하는 시스템 다중 사용자 관련 명령어 알아보기 * whoami : 로그인한 사용자 ID를 알려줌 * p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