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st do IT
반응형
article thumbnail
Chapter 03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과 기능 (3)
공부 Note/네트워크 2022. 2. 24. 13:25

스태닝트리 프로토콜과 루핑 * Looping * STP * RSTP & MST Looping * 정의 같은 네트워크 대역 대에서 스위치에 연결된 경로가 2개 이상인 경우에 발생한다 PC가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스위치들에게 전달하고 전달 받은 스위치들은 Flooding 한다 스위치들끼리 Flooding된 프레임이 서로 계속 전달되어 네트워크에 문제를 일으킨다 회선 및 스위치 이중화 또는 증축 등에 의해 발생한다 물리적인 포트 연결의 실수 또는 잘못된 이중화 구성으로 L2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이슈이다 * 구조 1. PC1은 Switch 1에게 브로드캐스팅 전송 2. Switch 1은 모든 포트에 브로드캐스팅 전송 3. 전달받은 브로드캐스팅 프레임을 Switch 2, 3도 모든 포트에 전송 4. Switc..

article thumbnail
Chapter 03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과 기능 (2)
공부 Note/네트워크 2022. 2. 24. 11:39

스위치와 ARP * L2 스위치 * ARP 스위치 * 정의 : 2계층의 대표적인 장비로 MAC 주소 기반 통신 * 허브의 단점을 보환 / Half duplex -> Full duplex * 1 Collision Domain -> 포트별 Collision Domain * 라우팅 기능이 있는 스위치를 L3 스위치라고도 부른다 * 동작 방식 : 목적지 주소를 MAC 주소 테이블에서 확인하여 연결된 포트로 프레임 전달 1. Learning : 출발지 주소가 MAC 주소 테이블에 없으면 해당 주소를 저장 * 4개의 PC는 스위치에 각 포트에 연결되고 프레임이 스위치에 전달 스위치는 해당 포트로 유입된 프레임을 보고 MAC 주소를 테이블에 저장한다 2. Flooding - Broadcasting : 목적지 주소가 ..

article thumbnail
Chapter 03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과 기능 (1)
공부 Note/네트워크 2022. 2. 24. 11:31

데이터 링크 계층과 스위치 * 데이터 링크 계층이란? * 주요 기능 * 이더넷 프레임 구조 데이터 링크 계층이란? * 역할 OSI 7 Layer의 2계층으로 인접한 네트워크 노드끼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과 절차를 제공 물리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 대표적인 프로토콜로 이더넷이 있으며 장비로는 스위치가 있다 * 2개의 부 계층으로 구성 : MAC, LLC * MAC (Media Access Control) : 물리적인 부분으로 매체간의 연결방식을 제어하고 1계층과 연결 * LLC (Logical Link Control) : 논리적인 부분으로 Frame을 만들고 3계층과 연결 * MAC 주소 : 명령어 cmd > ipconfig /all 또는 네트워크 설정에서 확인 가능하다 주요 기능 ..

article thumbnail
Chapter 02 물리계층 (4)
공부 Note/네트워크 2022. 2. 24. 11:28

패킷덤프 - 와이어샤크 * WireShark란? * 설치 가이드 * 사용 방법 WireShark란? * 정의 : 오픈소스 패킷 분석 프로그램 * 예전에 이더리얼로 불렸다가 상표권 문제로 와이어샤크로 변경 * 리눅스 TCPDUMP와 함게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에 널리 쓰이는 도구 * 2020년 5월 19일자 WireShark 3.2.4, 3.0.11, and 2.6.17 Released 설치 가이드 1. https://www.wireshark.org/ 에 접속 -> Download (Get Started Now) 클릭 2. 해당되는 OS에 맞게 다운로드 3. 다운로드 파일 실행 -> 파일 클릭 -> Next 클릭하며 다운로드 진행 사용 방법 1. wireshark 실행 후 활성화 인터페이스 선택 2. 실시간..

article thumbnail
Chapter 02 물리계층 (3)
공부 Note/네트워크 2022. 2. 24. 11:27

UTP 케이블과 Wi-Fi * UTP 케이블이란? * 코드 배열 * UTP 카테고리 * Wi-Fi란? * 무선랜 구성 UTP 캐이블이란? * 정의 : Unshielded Twisted Pair, 주로 근거리 통신망 (LAN)에서 사용되는 케이블 이더넷 망 구성시 가장 많이 보게되는 케이블 * 알렌산더 그레이엄 벨이 AT & T에서 발명 코드 배열 * 8P8C : 8개의 선 배열에 따라 다이렉트 또는 크로스 케이블로 구성한다 * Direct Cable (568B-568B) : PC to Hub -> DTE to DCE * Cross Cable (568A-568B) : PC to PC, Hub to Hub, DCE to DCE * DTE (Data Terminal Equipment), DCE (Data Co..

article thumbnail
Chapter 02 물리계층 (2)
공부 Note/네트워크 2022. 2. 24. 11:24

물리계층 장비와 케이블 * 물리계층 장비 * 케이블과 커넥터 * 단위와 성능 물리계층 장비 * 허브와 리피터 허브는 전기신호를 증폭하여 포트에 연결된 CP들끼리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리피터는 현재 거의 쓰이지 않는 장비로 신호의 세기를 증폭하여 좀 더 먼거리까지 통신이 가능 * 허브의 동작방식 단순 중계기의 역할로 허브에 연결된 PC1이 다른 PC2에게 데이터를 보내려하면 허브에 연결된 모든 PC들에게 그 데이터를 전달하게 된다 * 브로드캐스팅 통신 1 -> All * 유니캐스팅 통신 1 -> 1 * 멀티캐스팅 통신 1 -> n * CSMA / 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detection) 송신노드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다음 채널에서 다른 노드의 데..

반응형